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1950년 한국전쟁을 전후해 종교인 약 1700명이 학살된 사실을 처음 확인해 진실규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17일 진실화해위에 따르면 전날 제76차 위원회를 열고 지방 좌익과 북한군 등 적대세력에 의한 전북 지역 기독교인 희생 사건의 진실규명을 결정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진실화해위는 1950년 7∼11월 전북 군산·김제·정읍 등 8개 지역의 24개 교회에서 104명이 살해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중 절반 이상(60명)은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직후 북한군이 퇴각하던 9월 28일 무렵 희생된 것으로 파악됐다. 교회 직급별로는 일반 교인이 54명으로 가장 많이 희생됐으며 집사(23명), 장로(15명), 목사·전도사(6명)가 뒤를 이었다.
희생자 중에는 ‘국내 제1호 변호사’인 홍재기 변호사와 초대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인 윤석구·백형남 등 제헌 국회의원 2명도 포함됐다.
정읍에서는 빨치산이 교회와 교인의 집을 불태우고 불길에서 빠져나오는 사람은 찔러 아이와 노인을 포함해 20여 명을 살해했다.
진실화해위는 기독교인들이 해방 후 우익 단체에서 활동하거나 대거 월남했다는 이유로 좌익에 비협조적 세력으로 규정됐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지역 인민위원회가 선전과 군중집회 장소로 예배당을 이용하면서 갈등이 빚어졌고 교인들이 미국 선교사와 가까워 ‘친미 세력’으로 여겨진 점도 학살 원인으로 꼽혔다.
아울러 진실화해위는 1952년 공보처 통계국이 작성한 ‘6·25사변 피살자 명부’와 교회·교단 기록 등을 토대로 전국에서 학살된 종교인 약 1700명의 명단을 파악했다.
이에 따라 진실화해위는 북한 정권에 사과를 촉구하고 피해 회복과 추모 사업을 지원하라고 국가에 권고했다. 또 2022년 5월 한국전쟁 시기 적대세력이 벌인 종교인 학살의 원인과 성격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성이 크다며 직권조사를 결정했다.
진실화해위는 이번 진실규명을 시작으로 종교·지역별로 나눠 순차적으로 종교인 학살 사건의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