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아파트 시장의 ‘거래절벽’이 심화되면서 연간 거래량이 집값이 급락했던 2012년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
지난해 서울 아파트 시장의 ‘거래절벽’이 심화되면서 연간 거래량이 집값이 급락했던 2012년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

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거래절벽을 넘어 ‘빙하기’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내년 3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시장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 매도자도 매수자도 급히 거래에 나서기보다 일단 시장을 관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연간 거래신고 건수는 총 4만1713건으로 지난 2012년 4만1079건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직전 2020년 거래량인 8만1189건과 비교하면 거의 ‘반토막’ 수준이다.

지난 2012년은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다 참여정부가 만든 각종 규제 정책이 작동하고, ‘반값 아파트’로 불린 보금자리주택 공급까지 확대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폭(-6.65%)으로 하락한 시기다. 이로 인해 당시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2006년 관련 통계를 공개한 이후 가장 적었다.

특이한 것은 2012년과 달리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은 11월까지 7.76%나 뛰며 2006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거래량은 역대 두 번째로 감소한 ‘불황형 집값 상승’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지난해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총 2706건으로 8월 4217건의 64% 수준으로 줄어든 뒤 10월 2174건, 11월 1354건으로 계속 감소했다. 이는 2008년 9월 1849건, 10월 1519건, 11월 1163건 이후 각각 13년 만에 최저치다.특히 지난해 12월 거래량은 이달 1일까지 신고된 건수를 기준으로 567건에 그쳐 2008년 12월의 1523건을 밑도는 역대 최저를 기록할 전망이다.

최근 극심한 거래 침체는 금융당국의 강력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 따른 ‘돈줄 옥죄기’와 기준금리 인상, 올해 집값이 단기 급등한데 따른 고점 인식 등이 합쳐진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여기에 3월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앞다퉈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관련 규제 완화 공약을 내놓으면서 시장의 관망세는 더욱 짙어지는 분위기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