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가 주도한 새만금 수상태양광 비리

2021-12-19     자유일보

감사원 감사를 통해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비리가 밝혀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갑자기 원자력 에너지를 태양광 에너지로 대체하겠다고 했다. 국가의 에너지 정책은 정권과 관계없이 지속해서 추진되어야 할 장기정책이다. 핵에너지는 대한민국 역사와 함께 꾸준히 추진되어 우리는 핵발전 선진국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문대통령은 핵은 악이고 태양광은 선이라며 갑자기 국가 에너지 정책의 근본 패러다임을 바꿔 버렸다.

문대통령이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선포식을 한 2018년 10월에 한수원을 사업자로 선정했다. 태양광 설계경험도 없는 업체가 선포식 이전에 이런 사업을 먼저 제안했고, 이후 빠르게 이들 업체의 독점잔치는 확대됐다. 급기야 한 업체는 중간 브로커 역할만 하면서 33억여 원을 챙겼다.

이번 태양에너지 비리는 새만금 사업의 민간위원들이 청구한 공익감사에서 나온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앞으로 정권이 바뀌면 전말을 밝혀야 할 정도로 정권과 유착한 경제부패 의혹이 짙다. 권력 옆에는 항상 경제 이권을 노리는 나방들이 날아든다. 태양광 사업처럼 국가 에너지 근간을 흔드는 정책은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먼저다. 그런 후 이를 실현할 전문 업체들이 경쟁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국가정책을 차분히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문정부는 하루아침에 정책 근간을 바꾸고, 그 시행을 권력 주변에 있는 나방 업체들에 모두 맡겼다. 그러니 경제부패가 발생하는 건 당연하다.

문정부는 대기업을 무척이나 싫어했다. 대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 독점성이 강하다는 논리다. 독점은 나쁘다는 것이 문 정부의 인식인 것이다. 그러나 대기업의 독점성은 경쟁을 통한 독점이다. 다시 말해 소비자가 선택한 결과로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을 뿐이다. 이런 독점은 언젠가 다른 경쟁자에 의해 독점이 깨진다. 그게 시장의 경제원리다.

그런데 또 다른 종류의 독점이 있다. 정부가 만드는 독점이다. 정부가 갑자기 정책을 바꾸면, 정권 옆에 붙어 있는 준비된 업체들에 모든 사업이 독점으로 가는 건 당연하다. 정부가 만든 독점은 시장의 독점과 다르다. 정부에 의한 독점 구조는 절대 없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우수한 업체가 나와도 정권에 나방처럼 가까이 있지 않고선, 절대 진입할 수 없다. 이번 태양광 비리는 문정부가 그토록 미워했던 독점을 정부가 주도해서 만든 독점 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