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초거대 AI’ 언베일...상위 1% 인간 전문가와 맞짱
머지않아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은 물론 상위 1% 전문가의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AI)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SF영화 속 이야기가 아닌 실제 상황이다.
LG AI연구원은 14일 설립 1주년을 맞아 개최한 온라인 토크 콘서트에서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을 전격 공개했다.
초거대 AI는 대용량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처럼 스스로 사고·학습·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를 의미한다.
앞서 LG AI연구원은 올 5월 초거대 AI 개발을 위해 3년간 1억달러(약 12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지금까지 인간의 뇌에서 정보를 학습·기억하는 시냅스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를 13억개부터 130억개, 390억개, 1750억개로 키우며 연구를 지속해왔다. 파라미터는 AI가 딥러닝으로 학습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 이론상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AI는 더 정교한 학습이 가능하다.
이날 베일을 벗은 엑사원은 국내 최대인 약 3000억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언어는 물론 이미지, 영상 등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다룰 수 있는 멀티 모달리티(Multi-Modality)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수준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세계 최대 규모인 말뭉치 6000억개, 언어와 이미지가 결합된 고해상도 이미지 2억5000만장 이상의 학습 데이터를 활용했다. 현재도 엑사원은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LG CNS 등 LG 계열사들이 보유한 전문 데이터와 논문, 특허 등 정제된 말뭉치들을 학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약할 가능성을 높여 가고 있다.
특히 기존 초거대 AI가 하나의 언어에 특화된 것과 달리 엑사원은 한국어와 영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이해하고 구사하는 ‘이중 언어 AI’라는 점에서도 차별화된다.
LG AI연구원의 궁극적 목표는 엑사원을 제조, 연구, 교육, 금융 등 모든 분야에서 상위 1% 수준의 전문가 AI로 활약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