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내년 4월 방중…시진핑에 내년 중 국빈 방미 초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한다.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내년 중 국빈 자격으로 답방 예정이다. 이에 따라 내년에 글로벌 양강(G2)인 미·중 정상이 상대국을 방문하는 지구촌 ‘빅 이벤트’가 열릴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시 주석은 내게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초청했으며, 난 이를 수락했다"고 밝힌 뒤 시 주석은 "내년 중(4월 방중 이후)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나의 손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시 주석의 방미는 아직 중국측의 공식 발표가 없어, 트럼프 대통령이 양 정상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현직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 시절인 2017년 11월 이후 8년여 만이다. 이보다 앞서 시 주석은 2017년 4월 미국을 방문해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별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바 있지만 국빈 자격은 아니었다.
이날 통화는 한국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두 정상이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대좌한 이후 당시 합의 내용을 점검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통화는 3주일 전 한국에서 있었던 매우 성공적인 회담의 후속"이라며 "그때 이후로 (미·중) 양측은 우리의 합의를 정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이제 우리는 큰 그림(big picture)에 시선을 둘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시 주석도 "부산 회담 이후 중·미 관계는 총체적으로 안정·호전됐고 양국과 국제 사회의 환영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전했다. 시 주석은 "중국과 미국이 협력하면 모두에 이롭고(合則兩利) 싸우면 모두가 다친다(鬪則俱傷)는 것은 실천을 통해 반복 증명된 상식으로, 중·미의 상호성취·공동번영은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통화가) 약 1시간 동안 진행됐다"며 "무역협상과 미·중 관계가 어떻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중국이 보여준 것에 만족하고 있으며, 그들도 같은 입장"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매우 생산적인 한국에서의 회담 이후 계속 소통을 유지하는 것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