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사망, 3년만에 늘었다...9월까지 457명 숨져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산업현장에서 산업재해(산재)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457명으로 전년보다 14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산재 사망사고 직보"를 지시하고, "산재사망을 미필적고의 살인"이라고 규정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안전사고 예방에 나서고 있지만 정책에 구멍이 뚫렸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산재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망자는 모두 45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43명)보다 14명(3.2%) 늘었다. 산재 사망자는 1∼9월 기준 2022년 510명, 2023년 459명, 2024년 443명이다.
2022년 통계 작성 이래 매년 감소하던 산업재해 사망자가 올해 다시 증가한 것이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사망사고 건수도 440건으로 작년(411건)보다 29건(7.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산재 사망자가 210명으로 작년(203명)에 비해 7명(3.4%) 늘었다. 여기에 더해 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관리가 열악한 공사금액 5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산재 사망도 작년 72명에서 올해 91명으로 19명(26.4%) 증가했다.
기타 업종에서의 산재 사망자는 올해 128명으로 전년(106명)에 비해 22명(20.8%)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도소매업에서는 지게차·트럭 등에 부딪힘, 농림어업에서는 임산물 채취 중 나무에서 떨어짐 등 산재 사망자가 늘어났다.
규모별로는 상시 근로자 50인(건설업종은 공사 금액 50억원) 미만 사업장에서 올해 들어 9월까지 사망자가 275명으로 작년과 비교해 26명(10.4%) 늘었다. 50인 이상 대형 사업장과 대규모 공사 현장에서는 사망자가 182명으로 1년 전보다 12명(6.2%) 줄었다. 지방자치단체별로는 경기(93명), 경북(52명), 경남(42명), 서울(41명) 등 순으로 산재 사망자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