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총 직전 사무총장 ‘월급 셀프 인상’ 의혹 여전
김정환 목사 기자회견 열어 "재정 비리 사실 아냐" 반박 경매 시점·금액 불일치…"해명 자체가 앞뒤 맞지 않는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고경환 목사) 재정 인사 논란을 둘러싼 잡음이 커지는 가운데 직전 사무총장 김정환 목사가 최근 자신을 향해 제기된 의혹 전반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18일 서울 한국기독교연합회관 3층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 목사는 "거짓된 주장과 왜곡이 조직을 흔들고 있다"며 "한기총을 사랑했기에 침묵했지만 더 이상 사실을 외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은 김 목사가 사무총장에서 면직된 이후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밝힌 자리로 그는 한기총의 정상화와 조직 보호를 위해 침묵해 왔으나 최근 일부 인사들의 왜곡된 주장과 정치적 목적의 공격으로 인해 더 이상 침묵이 조직을 위한 길이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 목사는 가장 먼저 제기된 재정 비리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맹세코 한기총 재정을 단 1원도 사사로이 쓴 적이 없고 그 어떤 비리도 저지른 적이 없다"며 "만약 비리가 있다면 정확히 무엇이 비리인지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시 한기총은 극심한 재정난으로 직원들 월급조차 제때 주기 힘든 상황이었다"며 "사비를 털어 직원들 월급을 준 적도 다반사"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논란인 월급 셀프 인상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김 목사는 "사무총장의 월급은 기존 500만 원으로 정해져 있었다"며 "비서실장을 고용할 여력이 안되어 부득이 사무총장 월급 500만원을 쪼개어 사무총장 300만원, 비서실장 200만원으로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월급 인상은 사무총장 뿐 아니라 전 직원의 월급이 인상됐다. 모든 재정관리는 관례대로 사무총장에게 일임됐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기총은 그간 다른 직원과 달리 사무총장만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았다"며 "지난 1월 8일 총무국장에게 기본급 인상 없는 4대 보험 가입을 직접 지시했고 그 적용이 3월에 이뤄졌다. 그러나 2월부터 월급을 받지 못했기에 보험 가입 이후의 월급은 받아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변 모 목사에게 후원금을 요청한 것도 "실제 한기총이 재정파탄으로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서 한 것"이라며 "한기총을 위한 일이었는데 이미 수년이 지난 지금 이 일을 꺼내는 것은 나를 죽이는 일"라고 성토했다.
김 목사는 자신이 특정 변호사나 특정 세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그는 "몇몇 인사들이 자신들의 교회적·정치적 이해관계에 맞춰 저를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고 지적하며 "나는 줄을 서거나 정치적 거래를 하는 사람이 아니며 한기총 개혁을 위해 대표회장의 노선을 일관되게 지지해왔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자신의 면직 과정 자체가 정당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목사는 "면직 과정에서 소명 기회가 전혀 없었다. 지금도 면직의 정확한 이유를 알지 못한다"라면서 "노동위원회에 사무총장 부당해고 및 복귀신청을 한 상태"라고 밝혔다. 아울러 "앞으로도 한기총의 개혁과 투명성을 위해 기도하며 돕겠다. 만약 잘못한 것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책임을 지겠다. 그러나 거짓과 왜곡은 바로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정환 목사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날 기자회견 후 더 많은 의문을 남기며 혼란이 커지고 있다. 기자회견에는 한기총 회원 교단 일부 관계자들이 참석해 김 목사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며 고성과 설전이 이어졌다. 사무총장 퇴임 때마다 반복되는 문제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 목사는 한기총 사무실 경매 문제와 연관된 후원금 문제를 언급하며 "경매를 연기하기 위해 요청했다"고 주장했지만 제시된 날짜가 실제 법원 기록과 맞지 않는다는 사실도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참석자는 "경매는 2022년에 진행됐는데, 도와달라고 만났다는 시점은 2023년이라고 한다. 날짜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해명 과정에서 오히려 의문만 더 커졌다"고 말했다.
또한 김 목사가 구체적 자료를 들고 나왔지만 발언의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이 여러 차례 드러나 분위기는 어수선했다. 무엇보다 해당 후원금이 어떤 절차로 받아졌는지, 어떤 회계 처리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한 설명도 미흡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 목사는 4대 보험 가입 및 급여 조정 문제와 관련해 "당시 모든 권한을 관례대로 사무총장에게 위임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과정에서 ‘사무총장 전결’이라는 모호한 표현이 반복되면서 월급 셀프 인상 의혹은 전혀 해소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더욱이 사무총장의 단독 결정으로 재정 운영이 가능했다는 주장 자체가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
이와 함께 자료도 부정확하고 해명도 앞뒤가 맞지 않아 의혹을 더 키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한기총이 어떤 방식으로 이 논란을 정리할지, 재정 투명성과 조직 운영 체계를 재정비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