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北 김정은 사악…비핵화 논의 시진핑이 관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북한과의 협상을 담당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이 북한의 핵 포기를 직접 설득할 방법이 사실상 없으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17일(현지시간) 현지에서 열린 법무법인 ‘대륙아주’ 주최 간담회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설득할 당근이 없고, 사용할 수 있는 채찍의 숫자는 매우 적은 데다 대부분은 이미 사용됐다"며 "궁극적으로 북핵 문제는 이제 베이징(중국)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김 위원장의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정상회담이 실제로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 않는다"면서도 "만약 회담이 열린다면 그가 가장 바라는 것은 경제제재 완화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장관 시절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난 그는 당시 경험을 설명하며 "우리가 협상하는 상대는 실제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었다"면서 "궁극적으로 북한 비핵화 문제는 북한이 아니라 중국과 해결해야 할 사안"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김 위원장이 핵무기 문제를 단독으로 결정할 자유가 없고, 시 주석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그들은 깊숙이 엮여 있다"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또한 "북핵 문제는 시 주석의 승인과 지시 없이는 절대 이뤄지지 않는다"면서 "김 위원장과 대화하는 것이 흥미롭긴 하지만 정책적으로 의미 있는 해답을 주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 병력이 시 주석의 지시 없이 갔다고 믿는 것은 환상"이라면서 북한군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의 배후에 시 주석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김 위원장에 대해 "그는 사악하다. 그는 한반도 전체가 자기 것이라고 믿는다"면서 "김 위원장은 한반도를 점령하고자 하며 중국도 그런 결과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북한은 핵 역량을 갖고 있다. 그러니 그것에 대항하려면 한국이 충분한 방어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대북 외교와 관련해서는 "오늘날까지 시도되지 않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면서 "더 이상 새로운 레버리지는 없다고 보지만, 북한 내부에서 무언가 변화가 생길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공직 퇴임 후 미국 정부 관계 및 전략 자문 회사인 CNQ 그룹의 수장을 맡고 있으며 대륙아주는 CNQ 그룹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한편 폼페이오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협상으로 노벨평화상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번지수가 틀렸다고 생각한다"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트럼프 1기 말이었던 2020년부터 트럼프 대통령과 불협화음을 냈으며 2023년에는 공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