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0~7500...낙관·신중 엇갈린 증권사, 내년 코스피 전망
KB증권 7500P·키움4500P 예상 "리서치 센터, 단기 고객 유치보다 기업 펀더멘털에 초점둬야"
코스피가 조정 뒤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주요 증권사들이 내년 코스피 전망치로 4500에서 7500을 제시했다. 증권사 간 낙관과 신중론이 극명히 엇갈리는 모습이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중 KB증권이 내년 코스피 최고치를 7500포인트로 가장 높게 제시했다. KB증권은 보고서에서 "현재 ‘3저 호황(저달러·저유가·저금리)’ 시기였던 1984년과 유사한 상황으로, 이번 강세장은 단순한 경기 반등이 아니라 40년 만에 재현되는 장기 상승 국면의 시작일 가능성이 높다"며 "앞으로 7500포인트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짚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이 공급 부족에 따른 호실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내년 코스피 영업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지수 상승을 이끌 것으로 봤다.
이밖에 해외 증시 대비 여전히 코스피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이 높은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코스피 시장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4배로 전 세계 증시(PBR 3.5배) 및 아시아 증시(PBR 2.2배) 대비 할인 거래되고 있다"며 "코스피의 장기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반면 키움증권은 내년 코스피 최고치를 4500으로 가장 낮게 예상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등을 증시 하방 압력으로 꼽았다. 키움증권 리서치센터는 "반도체 중심의 코스피 이익 상승 사이클과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 등이 내년 주식시장에 선순환 효과를 부여할 것"이라면서도 "정부 정책의 수혜를 입는 신성장 산업은 성장세를 이어가지만, 전통 제조업 부문은 부진해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또 "인플레이션 하락세가 아직 목표 수준 아래로 안정되지 않았으며, 상품 가격 상승·무역 마찰·공급 제약 등 외생 변수들이 상방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 한국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은 코스피 최고치를 4600으로 제시했으며, 신한투자증권은 5000으로 예상했다. 신한투자증권은 "국내 대규모 재정 부양책이 임기 2년차인 2026년 가장 강할 것으로 보여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력도 유지될 것"이라면서도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마찰, 미국 대통령 중간 선거 등은 증시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증권사들의 이듬해 증시 전망은 적중률이 그리 높지 않다는 평가다. 지난해 KB증권은 올해 코스피 상단을 2980으로 제시했으며, IBK투자증권은 2830, 한국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은 각각 2800과 3000으로 전망했다. 내수 부진 등에 지지부지한 경제 흐름이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 등 주력 업종의 이익 모멘텀 둔화 등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