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美증시 공격적 투자…3분기에만 18조7000억 평가이익

2025-11-06     채수종 기자
/그래픽=박덕영 기자

‘트럼프발 관세충격’에서 벗어나 미국 증시가 ‘불장’을 이어간 올해 3분기 국민연금이 빅테크 중심의 공격적 투자로 18조원이 넘는 평가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 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9월 말 기준으로 미국 552개 상장종목에 투자 중이라고 밝혔다. 투자 종목수가 지난 6월 말 534개 보다 소폭 늘었고, 보유주식수도 8억805만주에서 8억5953만주로 6.4% 많아졌다. 같은 기간 국민연금이 보유한 미국 주식의 액면가치는 1158억3000만 달러(약 167조원)에서 1287억7000만 달러로 11.2%(129억4000만 달러) 증가했다.

평가액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였다. 지난 6월 말 기준 73억5210만 달러였던 국민연금의 엔비디아 주식 평가액은 9월 말에는 92억4574만 달러로 18억9363만 달러(25.8%) 급증했다. 이 기간 국민연금은 엔비디아 보유주식수를 4654만주에서 4955만주로 6.5% 늘렸다.

이어 애플 주식 평가액이 59억1177만 달러에서 75억6937만 달러로 16억5761만 달러(28.0%) 증가했고, 보유주식수도 3.2%가량 많아졌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과 테슬라 주식 평가액은 각각 42.3%와 44.2%씩 뛰어올랐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식수는 3.1%와 3.0%씩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그만큼 주가상승이 가팔랐던 까닭이다. 이밖에 브로드컴과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램리서치 등도 국민연금 보유주식수가 1.5∼4.6% 증가한 가운데 평가액이 적게는 8.9%에서 많게는 52.1%까지 많아졌다.

반대로 주가가 내리며 평가액이 감소한 종목도 있지만, 국민연금은 아메리칸익스프레스(-99.9%)와 도미노피자(-42.5%)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종목에서 보유주식수를 늘렸다. 예컨대 국민연금의 넷플릭스 보유주식수는 3분기 동안 3.1% 증가했는데, 평가액은 오히려 12억452만달러에서 11억1184만 달러로 7.7% 줄었다. 주가 하락을 저가매수 기회로 삼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세일즈포스, 코스트코, 치폴레멕시칸그릴, 월트디즈니, 코카콜라, 스타벅스,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등 3분기 약세를 보인 다른 종목들에서도 국민연금은 1.3∼2.7%씩 보유주식 수를 늘렸다.

국민연금이 3분기 들어 새롭게 투자한 기업 중에는 미국 주요 항공사와 전기차 제조업체 등은 물론 보수 성향 언론매체도 포함돼 눈길을 끈다. 6월 말 기준 단 한 주도 없던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에어라인홀딩스 보유주식수는 9월 말 현재 2만1170주와 6652주로 늘었다. 미국 전기차 제조사 리비안(1만4206주), 라스베이거스샌즈그룹(2만3464주) 등도 국민연금 보유종목 명단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미국 보수성향 유력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모회사인 뉴스코프, 폭스뉴스의 모회사인 폭스코프 주식도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쳐 각각 8648주와 1만7134주를 신규 보유했다. 국민연금은 록히드마틴(2.8%), RTX(2.8%), L3해리스(4.1%) 등 미국 방위산업체들에 대해서도 보유주식수를 다시 늘리고 있다.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종목은 엔비디아(7.2%·92억 달러)이며 애플(5.9%·75억 달러), MS(5.7%·74억 달러), 아마존닷컴(3.2%·41억 달러), 메타플랫폼(2.5%·32억 달러)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