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무기급 우라늄 폭주…북한 주민은 굶는데 핵만 늘린다

■ 정권 유지 위한 핵 집착의 악순환 언제까지 김정은, 12월 중순까지 무기급 우라늄 '기하급수적 증산' 지시 평북·자강도 지하시설 핵탄두 보관…‘핵방아쇠 완결’ 체계 과시 비핵화 포기 공식화하며 국제사회 책임 회피...긴장고조 악순환 주민 굶주림 외면한채 정권안보 집착...핵 폭주로 체제선전 강화

2025-09-30     곽성규 기자
/챗GPT 생성 이미지

북한 김정은이 당중앙군사위원회 명의로 무기급 우라늄 대량 증산과 핵탄두 소형화, 실전 배치를 동시에 지시한 사실이 알려졌다. 북한 정권이 국제사회의 비핵화 요구를 철저히 거부하고 핵무장 강화에 올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9일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가 북한 내부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김정은은 군수공업부에 오는 12월 중순까지 핵탄두 생산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라는 지시를 내렸으며, 조립된 탄두는 평안북도와 자강도의 전략군 지하시설에 보관될 예정이다. 이는 ‘1호 화산경보’(핵 발사명령) 발령 시 즉각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18년 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이 핵무기의 소형화·전술화를 강조한 이후, 북한은 사실상 이를 국가적 ‘최우선 과업’으로 삼아 온 것으로 분석된다. 주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은 전무한 채 정권 안보를 위한 핵 집착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외면한 채 이같은 움직임을 보여왔지만, 국제사회의 제재로 경제는 피폐해지고 주민들은 더욱 굶주려왔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우라늄 탄두는 중앙 저장고에 집중 배치되며, 발사 명령이 떨어지면 즉각 결합돼 실전에 투입된다. 북한은 이를 ‘핵방아쇠 완결’이라 부르며 체계적 운용을 자랑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한 북한 전문가는 "국제사회와 주민 모두를 볼모로 잡는 핵 공포정치일 뿐"이라며 "간부들 일부는 기술적 위험과 부담을 우려하고 있지만, 체제 선전에 가려져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은은 이미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비핵화 포기’를 천명하며 미국과의 대화 조건으로 삼은 바 있다. 한반도 긴장을 의도적으로 고조시키고, 체제 유지용 명분을 쌓으려는 계산인 것으로 해석된다.  9·19 군사합의를 짓밟은 것처럼, 북한의 합의와 약속은 결국 권력의 필요에 따라 휴지조각으로 전락한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게 됐다.

북한은 이번 핵 증산 지시를 국방 5개년 계획의 마무리 과업으로 선전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주민들의 굶주림과 인권 유린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북한 전문가는 이에 대해 "국제사회의 제재와 고립을 자초하면서도 김정은 정권은 주민을 희생양 삼아 핵무기 강화에 매달리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