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선 무너진 이 대통령 지지율, 왜 그런가 봤더니...
다른 조사서도 3주 연속 하락...40대서도 떨어져 '조국·윤미향 특사의 저주' 분석 나와 지지부진한 관세 협상 중 트럼프 ‘3500억 선불’ 발언도 결정타 조희대 청문회·검찰 폐지 등도 부정적 영향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 50%선이 무너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코리아정보리서치가 26~27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은 49.3%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조사(지난 19~20일) 때보다 3.5%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반대로 부정 평가는 같은 기간 44.1%에서 47.3%로 3.2%포인트 상승했다. 눈에 띄는 건 직전 조사에서 긍정 평가가 절반을 넘었던 40대(65.3%→50.3%)와 50대(63.3%→57.2%)의 하락 폭이 컸다는 점이다. 특히 40대는 15%p 가까이 빠지며 긍정과 부정이 사실상 동률을 이뤘다. 40~50대는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절대 지지층으로 알려져 왔다.
30대는 긍정 평가가 39.7%에서 43.8%로 소폭 반등했으나 여전히 부정 평가(57.0%→54.3%)가 우세했다. 20대 역시 긍정(44.4%→41.4%)은 줄고 부정(51.2%→53.8%)은 늘어, 청년층의 부정적 인식이 강화됐다. 반면 60대는 58.9%에서 60.1%로 소폭 상승하며 긍정 기류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긍정이 51.5%에서 45.9%로 내려앉고 부정은 45.9%에서 51.5%로 뒤집혔다. 경기·인천 역시 긍정이 50.5%에서 47.5%로 떨어지고 부정은 47.0%에서 49.1%로 높아졌다. 반면 호남권은 긍정 평가가 73.9%에서 73.6%로 거의 변동이 없으며 여전히 압도적 지지세를 보였다. 그러나 대구·경북은 긍정이 49.1%에서 41.0%로 크게 낮아지고 부정은 48.1%에서 52.8%로 올라, 영남권에서 부정적 기류가 확산하는 양상이다.
한편 28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9월 4주차 주간 집계에 따르면, 이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율은 전주 대비 1.0%포인트(p) 내린 52.0%였다. 반면 부정 평가는 0.5%p 오른 44.1%로 집계됐다. 긍·부정 평가 격차는 7.9%p로 좁혀졌다. ‘잘 모름’ 응답은 4.0%였다.
일간 흐름을 보면 지난 19일 52.8%에서 시작해 23일 54.9%로 올라갔다가 이후 24일 53.5%, 25일 51.0%, 26일 50.0%까지 하락했다. 향후 이 리얼미터 조사에서도 50%선이 무너질 수 있음을 예견케 하는 추세다.
이러한 여론의 추이에 대해 여러 가지 분석이 나온다.
리얼미터는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기간 중 트럼프 대통령의 강도 높은 관세 압박과 선불 발언 등 한미 관세 협상 난항에 대한 시장 불안, 부정적 경제 외교 이슈가 연이어 보도되면서 주 후반으로 갈수록 지지율이 계속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실제로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9월 첫째 주(1∼5일) 56.0%를 기록한 이후 둘째 주 53.0%, 셋째 주 52.0%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이 대통령 취임 이후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평가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금의 여론 추이는 이 대통령의 조국·윤미향 8·15 광복절 특사에서 비롯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광복절 특사 발표 직후 리얼미터 조사 결과 그 전 주 대비 5.4%p 하락한 51.1%로 나타났고, 한국갤럽 조사에서도 앞 주보다 3%p 하락한 56%를 기록했다. 이후 한미 정상회담 직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까지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세가 이어졌다.
송국건 정치평론가는 29일 "조국 조국혁신당 비대위원장과 윤미향 전 의원의 광복절 특사로 이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하자 한미 정상회담 후 ‘합의문이 필요 없을 정도로 회담이 잘 되었다’고 선전해 지지율을 끌어올렸다"고 짚었다.
송 평론가는 이어 "그런데 정상회담 이후 1개월 넘게 후속 회담이 이어졌으나 타결이 되지 않고 지지부진하면서 지지율이 하락세로 돌아섰다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 선불’ 발언이라는 폭탄이 터진 게 결정타가 되었다"고 했다.
야권은 여당인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독주하면서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를 추진한 것이나 정부조직법을 개정하여 검찰청 해체를 기정사실화한 것 등도 이 대통령 지지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