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25조원 채권 발행"…급성장 클라우드 부문 투자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24일(현지시간) 180억달러(약 25조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채권 매입 수요가 880억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에 발행된 채권은 만기 40년짜리를 포함해 6가지 종류다. 40년물 발행 금리는 비슷한 만기의 미국 국채 대비 1.37%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정해졌다. 처음 논의된 수준(1.65%포인트)보다 낮다. 발행 규모는 올해 들어 미국 기업의 투자등급 회사채 발행 중 두 번째로 크다.
오라클의 대규모 채권 발행은 챗GPT 개발업체 오픈AI와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플랫폼 등 고객사와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 계약을 체결한 가운데 이뤄진 것이다. 오라클은 지난 10일 오픈AI에 향후 약 5년간 3000억달러(416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연초 오픈AI,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은 향후 4년간 50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오픈AI는 전날 스타게이트 첫 거점인 텍사스주 애빌린 데이터센터에서 1개 동이 가동에 들어갔고, 나머지 7개 동은 완공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텍사스 다른 지역에 2곳, 뉴멕시코에 1곳, 오하이오에 1곳, 아직 공개되지 않은 중서부 지역에 1곳 등 데이터센터 단지를 추가로 건설 중이다.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M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상위 3개 사에 수년간 뒤처져 있던 오라클이 본격적인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하면서 비용 부담이 커진 가운데 이번 채권 발행에 나섰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향후 몇 년간 데이터센터 임대·운영에 수천억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오라클의 현금흐름이 1992년 이후 처음으로 올해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오라클은 2026회계연도 1분기(6∼8월)에 작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149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는데 이중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 매출이 33억50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55% 급성장했다. 오라클은 실적 보고서에서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에서 ‘계약된 매출 중 아직 이행되지 않은’ 잔여이행의무(RPO)가 4550억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359% 증가했다고 밝혔다. 당시 새프라 캐츠 오라클 최고경영자(CEO)는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 매출이 이번 회계연도에 77% 성장한 180억달러를 기록한 뒤 향후 4년간 320억달러, 730억달러, 1140억달러, 1440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했다. 오라클이 22일 클레이 마구어크와 마이크 시실리아를 새로운 공동 CEO로 임명한 것도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의 중요성을 반영한 리더십 교체라는 평가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