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日 이어 유럽 車관세도 15%로 확정…"8월1일부 소급적용"

2025-09-25     채수종 기자
/연합

미국 정부가 24일(현지시간) 유럽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15%로 확정했다. 이 관세율은 지난 8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되며, 해당 시점 이후 1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낸 기업들의 경우 환급이 가능하다.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까지 미국과 자동차 관세율을 15%로 확정하면서, 현재 자동차 관세율 25%를 적용받는 한국으로선 미국과의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더 커졌다.

미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25일 정식 관보 게재를 앞두고 이날 사전 공개한 관보에서 이 같은 관세 조정 내용을 확정했다. 여기에는 유럽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를 8월 1일부로 소급 적용해 현 27.5%에서 15%로 낮추는 내용이 담겼다. EU가 먼저 미국산 공산품 관세 철폐, 일부 미국산 농산물·해산물의 특혜적 시장 접근권 제공을 위한 입법안을 마련하는 것을 조건으로 달았다. 하지만 EU는 지난달 28일 입법안 초안을 발표하며 자동차 관세 인하를 위한 사전 작업을 완료한 상태다.

미국과 EU는 지난달 21일 유럽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관세를 15% 적용하는 무역 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일 행정명령을 통해 EU 상호관세 조정을 약속했다. 이번에 나온 것은 이에 따른 후속 조치로 볼 수 있다.

일본에 이어 유럽까지 15%로 관세 조정이 마무리됐지만, 한국 자동차는 여전히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날 수록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에 타격이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1% 감소한 182억 달러(약 4891억원)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은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미국 현지 판매가를 인상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지만, 이에 따른 수익성 악화는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현행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기아가 월 7000억원 정도의 관세부담을 떠 안게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