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이어 아마존·구글도 "H-1B 비자 소유 직원 美 떠나지말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가용 H-1B 비자 수수료를 100배 인상한 여파로 미국 기업들이 부담하게 될 비용이 연간 20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가 신규 비자 신청자에게만 적용된다고 추가 설명을 했지만,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H-1B 비자 보유직원들에게 미국에서 체류할 것을 통지하는 등 혼란과 불안이 계속되고 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현지시간) 미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국(USCIS)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에서 발급된 신규 H-1B 비자가 모두 14만1000건이라고 보도했다. 내년에도 H-1B 발급 건수가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미 고용주들은 연간 한건에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씩 총 140억 달러를 부담하게 된다는 게 FT 추산이다.
이에 따라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H-1B 비자는 주로 이들 기업이 해외에서 엔지니어, 과학자, 프로그래머를 채용하는 데 쓰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3년 H-1B 비자를 받은 인원 중 3분의 2 정도는 IT 업계 종사자였던 것으로 USCIS 통계에서 나타났다. 또한 회계 법인, 의료 기업을 포함한 전문 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난해 승인된 H-1B 비자는 40만 건으로, 대부분 갱신을 위한 신청이었다. 블룸버그 통신 21일 보도에 따르면 새 규정이 발표되자 주요 기술 기업들이 이 비자를 소유한 직원들에게 해외여행을 피하고 미국에 머물 것을 긴급하게 요구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아마존 등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출국 계획을 취소하라고 통보했다. MS는 지난 19일 트럼프 행정부 발표 직후 자사의 H-1B 비자 직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아마존은 H-1B 소지자의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H-4 비자 보유자들에게도 미국에 머물 것을 권고했다. JP모건체이스는 법무법인을 통해 비자 소지자들에게 추가 지침이 있을 때까지 미국에 머물고, 해외여행을 자제하라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 컨설팅 기업 어니스트앤영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비자 유형과 무관하게 가능한 한 해외여행을 제한하라는 지침을 계속 유지한다"고 밝혔다. 월마트도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행정명령의 내용과 의도가 명확해질 때까지" 해당 비자 소지자들은 미국을 떠나지 말 것을 권고했다.
로펌들은 미 대기업들이 비자 발급 주무 부처인 국무부의 공지가 나올 때까지 당분간 기다려보기로 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일부 대기업들은 수수료 인상에 맞서 법률적 대응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이들 로펌은 덧붙였다. 대형 로펌인 허버트 스미스 프리힐즈 크레이머의 한 변호사는 FT에 "행정부는 H-1B 관련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수수료를 부과할 권한이 있다"면서도 "10만 달러는 그들의 규제 권한을 완전히 벗어난 조치이며, 법원이 개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USCI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작된 2025 회계연도에 들어서 올해 6월 30일까지 가장 많은 H-1B 비자를 할당받은 기업은 아마존닷컴으로 1만44명에 달한다. 아마존 계열사 중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아마존개발센터US까지 합치면 아마존의 올해 H-1B 비자 할당은 1만4000명을 넘는다.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둔 정보기술(IT) 서비스·컨설팅 기업 타타 컨설턴시(5505명)가 두 번째로 많고, MS(5198명),메타(5123명), 애플(4202명), 구글(4181명)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