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인사, 이재명 지지율 추락 시발점
인사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이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강선우에 대한 임명을 고집하며, 거센 역풍을 자초하고 있다. 강선우 후보자의 과거 보좌진에 대한 상습적 갑질 그리고 장관을 상대로 한 예산 갑질 의혹이 폭로된 상황에서도, 고집스런 인사 재가는 결국 ‘권력의 오만’이 무엇인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인사는 국정의 첫 단추라고 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국민 정서와 현장의 분노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 여의도 정치권에서는 왕왕 상습적 모욕과 권위적 지시, 부당한 업무 강요가 폭로되며 논란이 되곤 한다. 보좌진에 대한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은 단순한 논란이 아니다.
민주당 보좌진들 사이에서는 "이제 의원들이 보좌진을 쓰레기 취급해도 낙마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줬다"는 자조까지 퍼지고 있다. 그 폐습을 대표하는 인물이 그저 대통령에게 잘 보였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화합을 상징하며 그만큼 높은 윤리성이 요구되는 여성가족부 장관 자리에 오르게 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 여가부 장관이던 정영애 전 장관은 강 후보자가 지역구 민원인 해바라기센터 설치를 위해 노골적으로 압박하고, "하라면 하지 무슨 말이 많냐"는 폭언까지 했다고 밝혔다. 본인 지역구 민원을 해결하지 못했다고 관련도 없는 여가부 예산 일부를 징벌적으로 삭감했다는 정황도 있다. 국회의원이 지역구 민원을 앞세워 정책과 예산을 볼모로 부처를 압박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권력형 갑질의 전형이다.
이런 인사에 대한 임명을 강행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국민을 바보 취급하는 것이다. 젊은 세대가 특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 ‘갑질’ 문제를 이렇게 가볍게 여긴다면, 이 정부가 권력형 폭력과 직장 내 괴롭힘 등에 대해 어떤 진정성을 가질 수 있겠나. 또한 이 정부의 ‘인사 철학’이 도대체 무엇인지 따져 묻지 않을 수 없다.
여론은 벌써 이재명 정부에 경고를 보내고 있다.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취임 후 처음으로 하락세가 시작된 것이다. "강 후보자의 갑질 이슈는 20대에게 특히 민감하다"며 "지지율의 하방 압력이 커져 60% 선도 붕괴할 수 있다"고 전망하는 여론조사 업체도 있다. 역대 정권의 사례를 보더라도 인사 실패는 지지율 붕괴의 시발점이었고, 그 끝은 국민의 냉정한 심판이었다.
민주당 내부에서조차 ‘2030 직장인 감성조차 읽지 못한다’는 비판이 심각해지고 있다. 국민보다, 그저 친명계와 측근들을 위한 정권이라는 의심은 확신으로 굳어지고 있다. 지금이라도 강선우 임명을 철회하고 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는다면, 이 정부의 지지율은 더욱 급격히 추락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