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명칭서 ‘통일’ 뺀다?…“헌법 정체성 해체 시도” 반발
대국본 “북한 눈치 보며 스스로 국가 근간 지우려 해…용어혼란전술의 전형”
최근 이재명 정부가 ‘통일부’에서 ‘통일’이라는 단어를 삭제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 중이라는 보도와 관련해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가 3일 논평을 내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대국본은 “이는 단순한 부처 명칭 변경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헌법적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부정하려는 시도”라고 규정했다.
대국본은 이날 논평에서 이번 시도를 “공산주의 혁명 전략 중 하나인 ‘용어혼란전술’의 전형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용어혼란전술이란 주로 좌파진영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의미를 교란시켜 기존 개념을 와해시키는 전략으로, 대국본은 “1980년대부터 한국 좌파가 집요하게 구사해온 방식”이라 설명했다.
대국본은 구체적으로는 전교조와 좌파 언론이 이 전략을 통해 국민의 인식을 왜곡해왔으며, 우파는 ‘극우’로, 대기업은 ‘재벌’로, 반국가활동은 ‘민주화운동’으로, 북한 지원은 ‘햇볕정책’으로 포장되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심지어 6·25 남침도 ‘통일전쟁’, 미군은 ‘점령군’으로 왜곡됐다는 것이다.
대국본은 “이제 이러한 전략이 부처 명칭에도 침투했다”며 이재명 정부의 통일부 명칭 변경 시도가 그 연장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과거 문재인 정부가 2018년 개헌 시도에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서 ‘자유’를 삭제하려 했던 전례를 언급하며 “국민의 거센 반발에 철회했지만, 이후 역사 교과서에서는 ‘자유’를 삭제했다.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대한민국 정체성을 의도적으로 변조하려는 작업이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이 ‘통일’이라는 단어에 불쾌감을 가진다고 하여 이를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는 김정은의 ‘2국가 체제’ 논리에 굴복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국본은 헌법과 남북기본합의서에서 통일은 ‘존재 이유’이자 ‘국가적 목표’로 규정되어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는 정권의 정치적 계산으로 삭제하거나 바꿀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고 못 박았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자유’와 ‘통일’을 하나씩 지워가며 헌법의 뿌리를 흔들고, 국민의 언어와 의식을 교란시켜 정체성을 무력화시키려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끝으로 “통일부는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대한민국 헌법이 지향하는 미래를 담은 국가적 선언”이라며 “이를 지우는 것은 곧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우는 것과 같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