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 1000만 모이면, 대한민국 살아난다"...8·15 대국민결집 촉구

"8.15 1000만 결집이 대한민국 살릴 마지막 희망" 전광훈 목사 강력 호소 경북포항 자유마을 대회서 헌법·군사 등 전문가들 총출동...체제수호 결의 김학성 교수 “연방제 통일은 헌법 위반… 남북은 이미 적대적 두 국가 체제” 이동호 원장 “이재명-이석기 연립정권, 주사파 혁명 완성 위한 마지막 퍼즐” 김상진 교수 “우리가 새로운 학도병… 광화문 시민들이 시민혁명 일으킬 것” 황중선 장군 “종전협정 체결 시 유엔군 철수…전쟁 재발시 국가안보 치명타”

2025-06-25     곽성규 기자
작년 광화문 8·15 국민대회 모습. /대국본

경북 포항 자유마을 지역대표들이 지난 24일 라메르웨딩컨벤션에서 열린 자유마을 대회에서 '8·15 광화문 1000만인 결집'을 결의하며 나라 살리기에 전면 나설 것을 다짐했다.

‘1000만 조직이 혁명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광화국 애국운동을 이끄는 국민혁명의장 전광훈 목사를 비롯해 김학성 헌법학자, 황중선 전 합참 작전본부장, 이동호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상진 부산대 명예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총출동해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한 결집을 촉구했다.

이날 대회사에서 전광훈 목사는 “내 몸이 불편하고, 북한에서 암살 위협까지 받고 있지만, 목사로서 순교할 각오로 전국을 돌고 있다”며 “이 나라를 북한에 넘겨줄 수 없기에 8·15 광화문 1000만인 결집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고 강하게 호소했다.

전 목사는 “대한민국은 이미 연방제로 넘어가고 있다. 그 시작은 김대중의 김정일과의 연방제 서명에서 비롯됐고, 문재인 정부 때 그 시도가 본격화됐으며, 이재명 정부는 이를 기정사실화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라가 연방제로 북한에 넘어가면, 교회도 자유도 사라진다”며, “이를 막을 유일한 방법은 국민저항권을 행사하는 8·15 국민혁명뿐”이라며 “1000만명이 광화문에 모이면, 그것은 혁명이고 나라를 구하는 유일한 희망”이라고 말했다.

전 목사는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미군을 "점령군"이라 칭한 영상을 틀어보이고 "이재명-이석기 연립정권이 추진하는 연방제는 국가를 김정은에게 넘기는 자멸의 길"이라며 "4·19와 5·16처럼 국민이 들고일어나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헌법 전문가 김학성 교수도 “민주당이 추진하는 연방제 통일은 대한민국 헌법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1민족 1국가 2체제 2정부는 헌법상 불가능한 구조”라고 단언했다. 그는 “이미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권에서 연방제 서명이 있었고, 이제 이재명 정권에서 마무리하려 한다”며 경고했다.

황중선 장군은 군사적 관점에서 위험성을 강조했다. 그는 “종전선언이 체결되면 정전협정이 종료되며, UN군도 철수해야 한다”며 “전쟁이 재발하면 유엔의 개입조차 어려워진다. 이는 대한민국의 안보를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동호 박사 “이재명 대통령은 주사파 이석기와 오랜 정치적 연대를 해온 인물”이라며 “문재인-전대협 연립정권이 무너진 자리에 이재명-이석기 연립정권이 들어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화문 1000만 결집이 이 연립정권을 무너뜨릴 마지막 희망”이라 강조했다.

김상진 교수는 6·25 전쟁 중 포항에서 희생한 학도병들을 언급하며 “당시 15~17세 학생 772명이 조국을 위해 장사리에서 산화했다. 오늘 우리는 제2의 학도병이 되어야 한다”고 외쳤다. 그는 “지금도 광화문에서 풍찬노숙으로 나라를 지켜낸 여러분이 진정한 영웅”이라며, “6·3 부정선거와 관련된 다큐멘터리가 미국 방송을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고 있다. 진실은 결국 드러날 것”이라 했다.

끝으로 전광훈 목사는 "나라가 백척간두에 있다. 지금이 바로 국민이 일어나야 할 때"라며 "광화문은 시작이다. 8·15에 1000만이 모여 주권을 회복하고 체제를 지켜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자유마을 대회는 대한민국 체제 수호의 최전선에서 활동 중인 애국 인사들이 총출동해 각자의 분야에서 이 정부의 연방제 시도를 막아야 한다는 절박함을 전달하는 자리였다. 8·15 1000만 결집이 단순한 집회가 아닌,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시민혁명’이 될 수 있음을 현장에서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