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심각"…1분기 공사실적 감소폭 외환위기 이후 최대
건축 경기 부진으로 지난 1분기 국내 건설공사 실적이 작년 동기보다 20% 이상 급감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19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상반기 건설지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기성은 26조8659억원으로, 작년 1분기 대비 7조2172억원(21.2%)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현재 진행 중인 공사 실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율이 20%를 넘은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3분기(7조3211억원, 24.2%) 이후 처음이다. 건설기성은 지난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4.0%, 3.1% 감소했으며 3분기에는 9.1%로 낙폭을 키웠다. 이어 작년 4분기 9.7% 하락한 뒤 올해 들어 두 자릿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건설기성은 큰 변동이 없는 지표라는 점에서 이런 감소폭은 현재의 건설경기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준다. 이는 민간 건축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공공 중심의 토목 경기마저 위축된 여파로 분석된다. 이 연구원 박선구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정부의 재정 조기 집행 등에 따라 공공물량이 전체 건설경기 부진 일부를 상쇄해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공공과 민간, 토목과 건축 전체 부문에서 큰폭의 감소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건설기성 하락은 건설기업의 단기 실적 악화는 물론 고용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행지표 부진에 더해 건설수주와 건축허가, 건축착공 등의 선행지표도 일제히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어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1~4월 건축허가(연면적)는 전년 동기 대비 21.4% 감소했으며 건축착공(연면적)도 22.5% 줄었다. 건설수주도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건설 수요와 시장심리 회복이 여전히 미진하다는 의미다. 올해 상반기 건설투자도 10% 이상 급감하며 외환위기 이후 최대 낙폭이 예견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9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건설투자는 상반기 마이너스 11.3%, 하반기 마이너스 1.1%를 각각 기록하며 연간 6.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998년(-13.2%) 이후 최대 낙폭이다. 같은 건설 지표를 종합해볼 때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회복세가 ‘V’자 형태로 가파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작아 시장에서의 회복 체감도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