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후보가 청문회에서 밝혀야 할 의혹들
이재명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 김민석을 둘러싼 의혹과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5년 전 국회에 신고했던 재산이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증가한데다 계속 새로운 의혹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절대다수 의석을 확보한 상황에서 총리 인준은 일종의 통과의례에 불과하다. 하지만 인수위도 없이 출범한 정권의 초대 총리 이미지는 정권의 앞날에 큰 영향을 준다는 의견이 많다.
김 후보자가 5년 전 국회에 신고했던 재산은 마이너스 5억8095만 원이었다. 이번에는 자신과 아내, 모친의 재산으로 2억1504만 원을 신고했다. 결과적으로 재산이 8억 원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김 후보자는 그동안 정치자금법 위반 추징금 6억1607만 원을 납부하고, 교회에도 2억 원 기부금을 냈다. 신용카드·현금 사용액도 2억3000만 원이고 아들도 유학 보냈다. 연 1억 원 남짓한 국회의원 세비로는 계산이 맞지 않는다.
김 후보자가 2018년 11명에게서 빌렸던 1억4000만 원을 총리 지명 후 갚은 것도 의문이다. 김 후보자는 과거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추징금 때문에 불가피하게 지인들에게 돈을 빌렸다며 "중가산세의 압박 앞에서 신용불량 상태에 있던 저는 지인들의 사적 채무를 통해 일거에 세금 압박을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하지만 "사실상의 불법 후원금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 후보자 모친이 소유한 빌라에 대해 과거 김 후보자가 참여한 사단법인 임원을 맡았던 건설업자 이모씨가 전세 계약을 맺었던 것도 "석연치 않은 전세 거래"라는 지적이다. 배우자·장모 등 가족들의 중복 계약이 더해진데다, 매매가를 상회하는 비싼 전세금 등 정상적인 거래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김 후보자는 문제가 된 의혹들에 대해 구체적인 해명은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청문회에서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만 했다. 야당은 "자금 출처가 어디인지 밝히고, 소득이 있었다면 납세 증명 등을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여야는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오는 24~25일 이틀간 열기로 합의했다.
지금 대한민국은 안팎으로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김 후보자가 새 정부 총리로서 국정의 조타수 역할을 해내려면, 그간의 의혹들에 대해 말끔하게 해명해 국민을 납득시키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