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1% "민생과제 1순위는 물가"…일자리·주거 등 뒤이어
국민 10명 중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9%가 ‘물가 안정’을 꼽았다고 20일 밝혔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모두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물가 안정을 제외하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20대 이하(23.0%)와 50대(19.3%)에서 높게 나타났고, 30대에서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나란히 16.9%였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 순이었다.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선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 등 순이었다. 주거 안정 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36.3%)이 가장 높았고 전월세 가격 안정·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등이 꼽혔다.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화’ 응답률을 거주지별로 살펴보면 비수도권(33.5%)보다 수도권(39.6%)에서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전통시장 활성화(23.1%) 등이 제시됐고 소상공인·중소기업 정책으로는 내수 활성화·판로 지원(27.1%), 세제 감면·경영 부담 완화(25.8%) 등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