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다음달 발표 경제성장률 전망치, 기존 1.5%서 대폭 하향 가능성"

2025-04-17     채수종 기자
/연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다음 달 발표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1.5%에서 상당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미국발 관세충격으로)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며 "(통화정책의) 스피드를 조절하면서 밝아질 때까지 기다리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본인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물가와 성장 등을 봤을 때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지만, 정책 불확실성과 금융안정 및 자본 유출입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고 지켜보자는 의견이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특히 "다음 달 발표하게 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상당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한은의 기존 전망치인 1.5%를 대폭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예고한 셈이다. 그는 "1분기에 대규모 산불이 발생할지 몰랐고, 정치 불확실성이 오래 갈지도 몰랐다"며 "미국 관세 충격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전망치가) 애초 예상보다 나빠질 것 같다"고 말했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관련, "1분기 정치 양극화가 심화하고 불확실성 해소가 지체되면서 내수 경기가 매우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이날 배포한 ‘경제 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1분기 성장률은 2월 전망치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모두 3개월 내 기준금리를 연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 폭과 관련 "과도하게 경기를 부양하는 것은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현재 원·달러 환율 수준에 대해 "펀더멘털보다 절하된 상황"이라며 "변동성이 줄어들려면 미국 행정부 관세 정책에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수용할지, 보복할지 등이 정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미국 인플레이션이나 성장에 따라 통화정책이 어떻게 갈지, 우리나라 정치 불확실성이 어떻게 해소될지에 따른 영향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