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비판받는 민주 경선룰…우파의 ‘역선택’ 두려워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경선 룰을 정했다. 소위 ‘역선택 방지’를 위해 권리당원 투표 50%와 여론조사 결과 50%를 반영하기로 했다. 비명계 후보들은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룰"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런 민주당 내분 양상이 국민의힘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12일 민주당 특별당규위원회는 대선 후보 경선 룰을 밝혔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이번 경선은 과거 ‘100% 국민경선’ 대신 ‘국민참여경선’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당원주권 강화’와 ‘역선택 방지’가 이유였다.
‘국민참여경선’은 가입한지 12개월 이상 됐고 당비를 6개월 이상 낸 권리당원이 참여한 투표결과 50%, 안심번호를 통한 일반 국민 50만 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2회 실시한 결과 50%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오는 19일부터 2주 동안 총 4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실시할 예정이다. 즉 권리당원 110만 명의 투표와 안심번호 100만 개를 추출해 실시한 여론조사로 대선후보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우리 당이 2012년 완전 국민경선을 도입한 뒤 13년이 흘렀다. 당시 권리당원이 11만 명이었는데 현재는 12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며 "정당 주인인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도 극우세력을 동원해 선전·선동이 끝나지 않고 대선국면으로 이어진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현실적이고 시대 상황에 맞는 국민참여경선을 선택하게 됐다"며 "많은 샘플 수를 정한 것은 가능한 많은 국민들의 의사를 수용해 국민 뜻을 잘 받들려는 의도"라고 강조했다.
이에 비명계 대선주자들은 "무늬만 경선"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민주당은 역선택이라는 말에 원칙을 접근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은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는 경선 룰에 대해 어떤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비명계가 반발하는 모습을 본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도 페이스북에 "민주당의 어대명식 대선 경선에 대해 당 안팎에서 비판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며 "이재명 일극 체제 하에서 치러지는 경선은 그저 요색 행위일 뿐이다. 위선을 그만 부리고, 차라리 이재명 ‘추대’를 선언하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이 이처럼 경선 룰을 두고 다투는 가장 핵심적인 원인은 ‘역선택’이라는 게 정치권의 지적이다. 다른 정당 지지자가 민주당 지지자 또는 당원으로 위장해 경쟁력이 가장 떨어지는 후보를 추대하는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 민주당은 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으로 경선을 치러도 핵심 지지층이 젊은 세대였기 때문에 여론조사나 온라인 투표 등에서 역선택 위험이 적었다. 또한 당시 경쟁 정당 지지층이 역선택을 비도덕으로 생각했던 것도 요인이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민주당에 반대하는 2030세대가 다수라는 사실이 드러나자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 경선이 위험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는 지적이다. 2030세대가 작정하고 역선택에 나서면 민주당의 ‘어대명’ 분위기가 깨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