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때 ‘중도’라고 답하라는 민주당 측 지시 있었다"...의혹 제기

2025-04-01     전경웅 기자
지난 3월 28일 MBC 뉴스가 전한 중도층의 탄핵 찬반 여론조사 결과. 중도층에서 윤 대통령 탄핵을 찬성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왔다. 이런 현상은 지난 2월부터 시작됐다. /MBC뉴스 영상캡처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조작 정황이 의심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민주당 측이 올 들어 지지자들에게 ‘여론조사 전화를 받으면 중도층이라고 답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이다. 여론조작은 공직선거법 제96조 1항에 따라 처벌받는 범죄다.

우파 인터넷 매체 ‘파이낸스투데이’는 "익명을 요구한 야당 내부 관계자로부터 제보를 받았다"며 관련 내용을 전했다. 올 들어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하고 탄핵 기각 여론이 커지자 민주당에서 지지자들에게 여론조사 전화를 적극적으로 받고, 이때 ‘중도층’이라고 답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것이다.

매체에 따르면 이 관계자는 "최근 리얼미터, 한국갤럽, NBS 여론조사 결과가 갑자기 이상한 흐름을 띠는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올해 초부터 광화문과 여의도를 필두로 전국적인 탄핵반대 집회와 시국선언이 있고, 탄핵 반대 여론이 급증하자 언론에서 ‘중도층 여론’을 부각했다. 이 관계자는 "중도층을 가장한 민주당과 좌파의 조직적인 왜곡 때문"이라는 주장을 폈다고 매체는 전했다.

매체는 "물론 익명의 야당 관계자 제보를 100% 신뢰할 수는 없다"면서도 "그러나 특별한 외부 요인이 없었음에도 중도층 여론조사 결과가 전체 결과와 비교해 10% 이상 탄핵 인용 쪽으로 기울어진 것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실제로 지난 3월 25~27일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중도층에서 70%가 탄핵 찬성 응답을 했다. 이는 전체 탄핵 찬성 의견을 끌어올린 원인이 됐다. 이보다 앞서 3월 23일 발표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도 중도층의 60%가 정권 교체를 지지했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자 가운데서도 45%가 정권 교체를 지지했다.

민주당과 좌파 진영이 조직적으로 ‘중도층’으로 위장해 여론조사에 참여한 이유는 그들이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전개된 정국 때문으로 풀이된다.

좌파 진영은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진영을 ‘신천지’라거나 ‘구원파’라고 비방했다. 또한 탄핵 반대 집회 참석자들을 ‘폐지 줍는 늙은이’라고 폄하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학생과 사회적으로 성공한 노년층들이 다수였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좌파 측이 여론을 뒤집어보려고 ‘조작’을 택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매체는 "정치성향을 본인이 판단하는 질문 자체가 신뢰도가 매우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실제 정치성향과 무관하게 ‘중도’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매체는 중도층에서 탄핵 찬성 응답이 많았던 여론조사를 MBC와 프레시안, 한국일보, 오마이뉴스 등 일부 언론들이 적극 보도한 것도 의심했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중도층’이라는 키워드로 언론 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반대 의견도 있었다. 한 여론조사 업체 대표는 "여론조사 전화가 누구에게 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조작이) 가능할 지는 기술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정 및 반론보도] ("여론조사 때 ‘중도’라고 답하라는 민주당 측 지시 있었다"...의혹 제기) 관련

본 신문은 지난 4월 1일 정치면에 <"여론조사 때 ‘중도’라고 답하라는 민주당 측 지시 있었다"...의혹 제기>라는 제목으로 민주당에서 여론조사 때 중도라고 답하라는 지시를 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위 기사에 기재된 '민주당'을 '야당'으로 바로잡습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은 "여론조사와 관련하여 '중도'라고 답하라는 지시를 내린 사실은 없다."라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