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활동 25년만에 ‘서울대병원 학살’ 민간학살로 규정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6.25 전쟁 첫 민간인 학살인 ‘서울대 병원 학살 사건’을 조사하고, 이를 집단학살로 규정했다. ‘서울대 병원 학살’은 6.25전쟁 때 ‘보도연맹사건’의 원인이 된 사건이다. 좌익 진영은 ‘서울대 병원 학살’을 철저히 숨겨왔다.
진실화해위가 4월 초순 전체회의를 열어 ‘서울대 병원 학살’을 집단 학살로 규정하고, 정부에 북한 측의 사과 요구 및 피해 구제책 마련을 촉구할 것이라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노무현 정권 때인 2005년 출범한 진실화해위는 그동안 우리 군경과 미군, 유엔군이 6.25 전쟁 중 저질렀다는 범죄만 찾아서 조사했다. 북한 인민군과 중국 공산당 인민지원군, 남조선노동당(남로당), 빨치산이 저지른 학살 등 전쟁 범죄는 철저히 외면했다. 그러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뒤에야 인민군이 저지른 학살을 처음 조사한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서울대 병원 학살’ 당시 간호보조원이었던 이모를 둔 최롱(남, 82) 씨가 2022년 6월 진실 규명을 신청했고, 진실화해위는 그해 9월부터 조사를 시작했다.
‘서울대 병원 학살’은 6.25 전쟁 최초의 민간인 학살이자 좌익 진영이 이승만 정부를 비난할 때마다 내세우는 ‘보도연맹 사건’의 원인이 된 사건이다. 1950년 6월 28일 미아리고개를 넘어 서울로 진입한 인민군 제9땅크여단은 종로구 소재 서울대 병원으로 쳐들어왔다. 이에 맞서 병원 경비를 맡았던 국군 1개 소대와 부상병 가운데 경상자 등 80여 명이 병원 뒷산에서 저항했지만 모두 사살당했다.
당시 서울대 병원에는 서부전선에서 부상을 입은 국군 부상병 수백 명이 있었다. 인민군은 처음에는 병실을 돌며 국군 부상자를 확인하고 총으로 쏘고 총검으로 확인 사살했다. 조금 있다가는 국군 부상병을 병실 구석에 몰아넣고 무차별 사격해 살해했다.
이것도 귀찮다고 생각했는지 나중에는 환자복을 입고 있으며 무조건 죽였다. 이 과정에서 정신병동 입원환자, 소아과 병동 어린이 환자와 보호자들까지 살해했다. 인민군은 그 뒤에도 병원을 샅샅이 뒤져 숨어 있던 사람들을 끌어내 10t 가량의 석탄더미에다 생매장 했다. 희생자 유족에 따르면 1950년 9월 서울 수복 이후 미군이 서울대 병원을 정리했다. 당시 수습한 유골이 1000여 구였다
증언에 따르면 서울대 병원 학살에 앞장 선 사람들이 전쟁 전 월북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었고, 서울대 병원 의료진 가운데 40%가 남로당원이었다는 점이다. 남로당 소속 의료진은 다른 의료진들에게 "서울대 병원 학살에 대해 절대 말하지 말라"고 협박했다고 한다. 또한 전쟁 직후 환자 명단과 진료기록을 모두 없애버렸다.
하지만 이 사건은 이승만 정부의 귀에 들어갔다. 이승만 정부는 서울에 진입한 인민군이 좌익세력의 도움을 얻어 서울대 병원 학살뿐만 아니라 군인·경찰·공무원·교사와 그 가족을 찾아내 집단 학살하고 있다는 소식을 입수했다. 이승만 정부는 전선 후방 지역에서 서울과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는 명분으로 당시 관리 중이던 ‘보도연맹’ 조직원들을 살해했다. 인민군이 학살하지 않았다면 ‘보도연맹사건’도 일어나지 않았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중·고교 교과서나 참고서에 ‘서울대 병원 학살 사건’을 다루는 경우가 있엇다. 하지만 2000년대를 넘어선 뒤 중·고교에서는 ‘서울대 병원 학살 사건’을 가르치지 않았다. 대신 ‘보도연맹사건’을 6.25 전쟁 당시 최초의 민간 학살이라며 집중 부각했다.
‘서울대 병원 학살 사건’ 외에도 진실화해위가 파헤쳐야 할 좌익의 민간인 학살 사건은 적지 않다. 그중에서도 역사적으로 가장 많이 왜곡된 것이 제주 4.3 사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