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 포진한 ‘21세기 정명수’들

2025-03-25     강병호 배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강병호

대한민국이 직면한 진정한 위협은 좌파들이 감정적으로 내세우는 ‘토착 왜구’가 아니라, 바로 ‘21세기 정명수’(鄭明壽)다.

병자호란 당시 조선 출신 매국노 정명수는 조국을 배신하고 청군 앞잡이로 정보를 유출하며 조선의 항복을 강요했다. 또한 수만 명의 조선인을 청나라로 강제 이송하는 데 협력해 조선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끼쳤다. 시대가 바뀌었지만, 사대 매국 세력은 여전히 대한민국 지도층에서 보이지 않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6년 중국에 치명적인 사드(THAAD) 배치를 결정한 후 탄핵당한 것처럼, 윤석열 대통령 역시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며 중국 견제 정책을 추진하자 탄핵 시도가 본격화됐다. 더불어민주당이 제출한 탄핵소추안 초안에는 윤석열 정부의 ‘한·미·일 중심 외교정책’을 문제 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한국에서는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대통령이 탄핵을 감수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중국은 2023년 개정된 반간첩법(反間諜法)으로 해외 간첩 색출을 강화했다. 반면 대한민국은 해외 간첩을 처벌할 법조차 없다. 더불어민주당이 간첩 관련 형법 개정을 지속해서 방해해 왔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 연구관 중 중국식 이름을 가진 인사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도 논란이다. 헌재는 이를 부인했지만, 국민의 의구심은 커지고 있다. 이들이 좌파 판사들에게 영향을 미쳐 사법적 판단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대학도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중국 공산당이 지원하는 공자학원이 전국 22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일본의 거의 두 배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공자학원이 폐쇄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2023년 기준 한국 대학 내 중국 국적 유학생은 약 5만8000명으로,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32%를 차지한다.

2017년과 2024년을 보면, 대한민국이 한·미·일 공조를 강화할 때마다 최고 지도자가 탄핵 위기에 몰리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좌파가 소위 ‘토착 왜구’ 프레임을 앞세워 선동에 집착하는 이유는, 어쩌면 이러한 현실을 감추려는 의도일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이 주체적인 국가 위상을 유지하려면, 주요 국가기관에 깊숙이 뿌리내린 ‘21세기 정명수’ 세력의 영향력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불투명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