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이재명 대법선고 전 대통령 되면 내전상황 될 것"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계 대권 잠룡’으로 꼽히는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 선고 이전에 그가 대통령이 되면 내전 상황이 초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민주당 안팎의 많은 이들은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어떡하든 이 대표의 경선을 막아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아울러 이 대표 스스로 대선 출마의 뜻을 접어야 한다는 표현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김 전 장관은 10일 서울 여의도 자신의 사무실에서 가진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2심에서 유죄 판결이 나올 경우 대선 경선이나 본선 과정에서 혼란 상황이 올 수 있다"면서 "대법원 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통령이 되면 재판 지속 여부를 두고 내전이 벌어질 것으로 본다. 이 문제는 전적으로 이 대표가 풀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전 장관은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야권 대선 후보 경선 방식에 대해 야권 전체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민주당은 ‘개딸’들이 당을 장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이런 구조에서 기존 룰을 유지하면 경쟁이 어려운 만큼, 국민 참여형 경선 방식을 통해 개방성을 높이고 폭넓은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은 또 이 대표의 최근 통합 행보와 관련해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면서도 "자신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것을 검찰과 비명계가 짜고 한 짓이라고 표현해 논란이 됐고 섭섭했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과에 대해 "100% 인용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이후 즉시항고를 포기한 검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검찰은 죽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현행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 "5년 단임제의 폐해가 크다"며 "개헌을 통해 4년 중임제와 분권형 대통령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전 장관은 지난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주당의 집권을 위해 ‘어대명 경선’을 막아야 본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이 대표의 결단을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