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관성 진술' 이진우와 계속 말바꾼 홍장원...헌재 증언 극과극
지난 4일 밤늦게까지 열린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5차 변론에서 가장 눈길을 끈 증인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었다. 대다수 국민들은 이진우 전 사령관의 일관성 있는 진술에 감탄했다. 반면 그동안 계속 말을 바꾼 홍장원 전 1차장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다.
이날 이 전 사령관의 진술은 그동안 국회를 거쳐 언론에 보도된 내용과 매우 달랐다. 이날 변론에서 "대통령이나 국방장관으로부터 누군가를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진우 전 사령관은 "그런 지시는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이어 "그에 대해서는 더 이상 답변 드리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검찰에 기소돼 수사 중인 사건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
"장관이나 대통령으로부터 국회로 가서 국회의원들 본관 출입을 막고, 계엄 해제요구 의결을 못하게 하라는 지시를 받은바 없느냐"는 질문에도 이 전 사령관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국회에 병력을 투입하라는 (김용현 전 장관의) 지시는 적법한 지시였느냐"는 질문에 이 전 사령관은 "그 부분은 적법하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진우 전 사령관은 또한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께서, 검찰총장까지 해서 법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분이 국민을 상대로 방송을 통해 이야기를 했는데 그것이 위헌·위법이라는 생각을 할 여지는 없었다"면서 "그 부분은 지금도 적법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를 신청한 국회 대리인단 측이 가림막 설치를 권유했을 때도 이 전 사령관은 "상관없다. 제 직책과 명예를 갖고 말씀드리고 있다"고 거부했다. 국회 대리인단이 "계엄 사건에 군인이 정치적으로 이용됐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이 전 사령관은 "제 역할을 통해 다음 세대, 후배 장병들에게 좋은 선례와 모범이 되기를 바라는 목표로 살았다"며 "그렇게 생각 않는다"고 답했다. 이날 윤 대통령도 "훌륭한 장군들 진술에 이러니 저러니 하고 싶지 않다"며 이 전 사령관의 진술에 힘을 보탰다.
이 전 사령관과 대조적으로 홍장원 전 차장은 계속 말을 바꿔 눈총을 받았다. 홍 전 차장은 이날 변론에 증인으로 나와 "윤 대통령이 ‘방첩사를 지원하라. 자금이면 자금, 인원이면 인원 무조건 지원하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국회 대리인단 질문에 홍 전 차장은 "당시 통화 내용을 보면 (대통령께서) 그 말씀하시고 대상자를 규정하지 않아서 뭔가를 잡아야 한다고만 생각했다"면서 "다만 누구를 잡아야 한다고까지는 전달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계엄령 선포·해제 직후 "윤 대통령에게 정치인을 싹 다 잡아들이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이후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 대상자 명단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정원은 누군가를 체포할 수 있는 조직이 없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은 "국정원에 정치인 등의 위치정보 추적에 대한 협조 요청을 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이에 정형두 헌법재판관이 홍 전 차장에게 직접 묻기도 했다. 정형두 재판관이 "여인형 전 사령관이 검거를 요청했느냐"라고 묻자 홍 전 차장은 "위치 추적해달라는 것이 검거를 위한 것이라고 이해했다"고 답했다.
정 재판관이 다시 "왜 국정원이 체포하느냐, 체포할 인력은 있느냐"고 묻자 홍 전 차장은 "국정원에 수사권이 없어 체포할 권한이 없다"고 답했다. 이에 정 재판관은 "그럼 검거가 아니지 않느냐? 검거지원이라고 적는 게 맞지 않느냐"라고 지적했다. 홍 전 차장은 결국 사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