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7일 개막...일상을 바꾸는 AI 각축전
범용 AI에서 특화 AI로 진화…"효용성 입증 못하는 모델·서비스 도태" 전문영역 활용되는 ‘버티컬 AI’ 기사업화 가능성 가늠하는 자리 될 듯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7~10일(현지시간) 일정으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됐다. 올해 CES는 거대언어모델(LLM)이 두각을 드러내며 불어온 인공지능(AI) 열풍이 구체적인 영역에서 수익 모델로 발전할지 판단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CES 2025 참여 전시 기업 수는 4300여개, 참가자 수는 15만명으로 추정된다.
7일(현지시간)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CES 2025는 산업 현장,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등 전문 영역에서 활용되는 ‘버티컬 AI’의 기술 역량과 사업화 가능성을 가늠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거대언어모델 등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AI 기본 모델을 특정 분야에서 활용하도록 맞춤형으로 고도화한 것이 버티컬 AI다.
LG전자가 올해 CES에서 발표한 인캐빈 센싱(운전자 및 차량 내부 공간 감지) 설루션은 가전과 AI홈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버티컬 AI의 한 사례이다. 이 설루션은 운전자의 시선과 표정 등을 기반으로 졸음 감지, 심박수 측정, 안전벨트 착용 인식 등을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한다. 또 주행 중 외국어 교통 표지판의 실시간 번역을 제공하는 기능도 갖췄다.
엔비디아의 AI 기반 로봇 플랫폼인 젯슨이나 건물 상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한 이탈리아의 아그라티 등도 버티컬 AI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전시로 주목받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에서 나아가 종합 AI 설루션 기업으로 변신 중인 엔비디아의 젯슨 플랫폼은 로봇·드론·자율주행 차량·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AI 작업을 수행한다. 아그라티의 플랫폼은 AI가 외부에서 건물 구조를 파악하고 노후 정도와 위험 징후를 파악해 효과적으로 건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AI를 질병 예방과 치료, 건강한 신체 능력 유지에 활용한 사례가 다수 소개된다. 코로나19 진단 키트로 명성을 쌓인 미국 헬스케어 애보트는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실시간 건강 데이터 분석 플랫폼 ‘링고’에 버티컬 AI를 활용한다.
국내 기업 에이슬립의 ‘슬립보드’는 태블릿, 모바일 등 온디바이스 기기를 기반으로 수면 중 숨소리를 측정해 이용자 수면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AI 모델을 선보인다. 이종민 SKT 미래 알앤디 랩장(부사장)은 "AI가 효용을 입증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선택받지 못하고, 실적을 내면 크게 성장하는 시기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