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장 "부정선거 팩트체크 하자"…발끈한 언론노조 지부와 MBC
김백 YTN 사장이 "부정선거 관련 팩트 체크 특집 방송을 하자"는 지시를 내리자 민노총 언론노조 YTN 지부가 강력히 반발했다. 그런데 YTN보다 더 반발하고 있는 곳이 MBC다. MBC는 연이어 김백 사장을 비판하는 보도를 내놓고 있다.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김 사장은 지난 16일 실국장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에 비상계엄을 내린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를 밝히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며 "이 이슈가 정치권에서 대형 이슈로 제기된 만큼 언론이 시시비비를 가려줄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장은 "저는 부정선거를 믿지 않는 사람 중의 하나"라며 "하지만 사회 일각에서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대통령마저도 언급했다"면서 "중앙선관위에서는 언론에서 이러한 진위를 가려줘 부정선거 논란을 불식시켜주길 원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제도권 언론도 양쪽의 상반된 주장만 표피적으로 전할 뿐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제기하는 구체적 이슈에 대해 팩트 체크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며 "YTN이 부정선거에 대한 팩트 체크를 한다면 지루한 공방을 끝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그러면서 "부정선거가 시스템상 불가능하다면 부정선거라고 제기된 주장 자체가 거짓으로 드러날 것이 확실하다"라며 "보도제작국에서 ‘팩트추적’ 팀의 아이템으로 다루든지 별도의 특집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는 것을 검토해보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는 "민영화된 YTN은 아무것도 달라질 게 없다. YTN은 언론기관으로서 우리 책임과 역할만 차분하게 묵묵히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의 지적처럼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담화와 지난 12일 담화에서 부정선거 문제와 선관위 보안 문제를 언급했다. 실제로 현재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 등에서는 그동안 제기됐던 부정선거 의혹을 다루는 콘텐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투표지 분류기(전자개표기)가 특정 후보를 찍은 투표용지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다는 영상부터 선관위 직원이 투표용지를 하나씩 뜯어내 전자개표기에 넣기 위해 준비하는 모습, 한 번도 접혀지지 않은 투표용지가 다발 째로 개표장으로 옮겨지는 모습 등은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갖기에 충분한 내용이었다.
특히 한 번도 접혀지지 않은 투표용지를 두고 의혹이 제기되자 중앙선관위가 ‘형상기억용지로 제작한 특수종이’라고 둘러댄 데 대한 비판은 점점 커지고 있다. 열을 가하면 본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형상기억합금’은 이미 상용화돼 있지만 이런 기능을 가진 종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적이 없다. 김백 사장의 ‘부정선거 의혹 팩트 체크’ 지시는 언론에서 이런 문제를 공개적으로 되짚어보자는 취지다.
이에 민노총 언론노조 YTN 지부는 "부정선거를 주정하는 건 극우 유튜버 밖에 없다, 국민의힘도 그러지 않느다"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YTN 지부는 중앙선관위의 주장을 언급한 뒤 "망상에 빠진 윤석열이 비상계엄이라는 무도한 일을 벌였는데, 이를 비판하고 비상계엄 경위를 탐사보도해도 모자랄 판에 부정선거 주장을 팩트 체크하자는 게 상식적이냐"고 반발했다.
YTN보다 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은 MBC다. MBC는 지난 16일에 이어 17일에도 김 사장의 지시를 비난하는 보도를 내놨다. MBC 또한 중앙선관위의 주장을 인용한 뒤 "탄핵이 가결된 뒤에도 일부 극우 유튜버들은 부정선거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라며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들까지 싸잡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