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2국가론’에 선 긋는 친명계…尹 공격 밑밥인가 외연확대인가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2국가론’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친명계’가 선 긋기에 나섰다. 이재명 대표와 이해식 대표 비서실장은 "위헌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임종석 전 실장은 "논의의 시작"이라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이런 민주당 내 의견 대립을 두고 대통령실과 여당에서는 겉으로만 의견이 갈릴 뿐 실제 목표는 윤석열 정부를 ‘반통일세력’으로 몰아가는 동시에 3주 앞으로 다가온 보궐선거를 위한 민주당의 외연 확대 포석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 25일 부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임종석 전 실장의 ‘두 국가론’을 두고 "평화통일을 추구하도록 돼 있는 헌법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이 앞서 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 김정은에 동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발언도 언급했다.
이해식 대표 비서실장도 최고위원회의 후 "임 전 실장 메시지는 헌법 정신에 위배되며 당 강령과도 맞지 않는 주장이고, 평화 통일을 추진하고자 하는 그동안의 정치적 합의와도 배치되는 것으로 당론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말했다.
‘친명계’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 토론회에서도 날선 비판이 나왔다. 김진향 한반도평화경제회의 상임의장은 "문재인 정부의 평화정책은 실패했다"고 비판했고,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임 전 실장의 말은 나쁘게 말하면 개념 없는 소리"라며 "무책임하게 두 국가론이라는 걸 받아들이고 ‘평화적인 두 국가’라는 단어로 포장해서 가는 게 과연 맞느냐"고 비판했다.
그러자 임 전 실장은 26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두 국가론은 헌법을 부정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민주당에서 활발한 토론이 시작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주장하는 건 평화공존"이라며 "지금 평화가 가장 위험해지고 있다. 김정은은 적대적 두 국가론을 이야기하고 윤석열 정부는 거기에 쌍둥이처럼 장단을 맞춰 서로 주적이라 부르며 대화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임 전 실장의 말은 민주당이 지난 4월 총선 때 인재 영입 풀(Pool)로 여겼던 좌파 시민단체들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좌파 진영은 윤석열 정부를 반통일세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임 전 실장 또한 "윤 대통령이 김정은과 합을 맞춰 통일에 반대하고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재명 대표와 ‘친명계’ 입장에서 보면, 3주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 교육감, 전남 영광군수·곡성군수, 인천 강화군수,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승리하려면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임 전 실장 주장과 거리를 두는 것이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일시적으로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는 거라는 풀이도 여의도에서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