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작아지는 한국...100년 뒤엔 인구 2000만명 깨진다
지금으로부터 30년 뒤 우리나라 인구가 매해 1%씩 감소해 100년 후에는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추이가 계속되면 모든 시도가 인구소멸을 걱정하는 처지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6일 통계청이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전망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보다 1.0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등으로 감소 폭이 커진다. 특히 2046년 -0.62%, 2052년 -0.92%에서 2054년에는 -1.03%로 감소율이 처음 1%를 넘어선다. 지금으로부터 30년 뒤엔 매해 인구가 전년보다 1% 넘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인구 감소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은 저출생·고령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인구가 매해 자연감소하는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경북의 경우 지난 2022년 출생아 수가 1만 1000명, 사망자 수가 2만 6000명으로 1만 5000명이 자연감소했다. 2052년에는 경북의 출생아 수가 7000명, 사망자 수가 4만 4000명으로 3만 7000명 자연감소한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의 6.3배에 달하는 것이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격차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를 특정 연도의 인구로 나눈 자연증가율도 경북이 2022년 -0.57%에서 2052년에는 -1.71%로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7만 4000명, 사망자 수가 7만 8000명으로 자연감소 규모가 4000명에 그쳤지만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6만 2000명, 사망자 수가 18만 6000명으로 12만 4000명 감소한다. 경기 인구의 자연감소 규모가 30년 뒤 31배로 커지는 셈이다. 지난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000명)가 사망자 수(2000명)를 웃돈 세종도 2045년부터 인구가 자연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됐다.
2052년 기준 인구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54%로 예상됐다. 세종은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지만 인구 유입으로 2052년 인구가 0.3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2022년 인구성장률 5.20%에 비춰보면 크게 둔화한 수치다.
통계청의 2052∼2122년 시도별 장기추계에 따르면 약 100년 후인 2122년 중위 추계 기준 전국 인구는 1936만 명으로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