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방역'으로 PCR 검사 역량 한계 도달

당국, 신속항원검사 ‘양성’시 확진판정 추진

2022-03-02     이한솔 기자
개학일인 2일 오전 울산시 북구 달천중학교에서 학생들이 보건교사에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키트 사용법을 배우고 있다. /연합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 및 대유행에 따라 당국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역량이 한계에 도달했다. 당국의 방치방역으로 검사체계에 과부화가 걸렸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월 22일부터 28일 한 주간 PCR검사량은 일 평균 75만 건이 넘었다. 당국은 하루 최대 검사할 수 있는 역량으로 85만 건을 언급한 바 있다. 22일과 24일은 90만 건에 이르렀다.

PCR검사 수요가 역량을 넘어서면서 특정 지역에서는 결과 통보가 늦어지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PCR검사 결과를 기다리기까지 2~3일까지도 걸리는 사례도 나오면서 결과 대기중 중증화율을 높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PCR검사 대상자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으로 한정돼 있기 때문.

상황이 이렇다보니 당국은 PCR보다 검사가 간편하고 결과 도출 시간이 빠른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이 나올 경우 PCR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확진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재는 신속항원검사 양성 도출 시에도 추가적으로 PCR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확진으로 인정된다.

당국은 당초 PCR검사를 제외한 여타 검사에 대해서는 PCR보다 떨어지는 정확도에 대해 우려했다. 그러나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 탓에 역대 확진자 수와 검사수를 감당할 수 없어 의료체계 전환과 함께 신속항원검사와 자가검사키트로 1차 검사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확진 인정과 관련해 당국은 자가진단키트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만큼 인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어디까지나 당국이 코로나 검사를 현행 ‘2차’에서 ‘1차’로 단순화하려는 것은 최종 확진판정까지 환자들이 대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고위험군의 적절한 조기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기 때문.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하게 될 경우 먹는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도 발빠른 처방이 가능해진다.

동네 병·의원 검사·치료 체계 전환에 따라 PCR검사 우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국민은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3월 1일 기준 호흡기전담클리닉은 전국 449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은 6272개소로 전국 총 6721개소가 있다.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797개소다. 총 22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라고 당국은 설명했다.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7549개소(운영개시 예정 기관 포함)가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