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입에 밥 밀어 넣으며 기도하시는 엄마 보고 ‘살아야겠다’ 생각”

23세때 교통사고로 전신화상 입은 이지선 교수, ‘유퀴즈’ 출연해 밝혀 “친구들이 병원에 올 때마다 옛날의 저로 대해줘...웃는게 고통 이긴다” “사람들의 사랑 저버려산 안 된다는 생각에 거울 앞에 용기 내 서게 돼” “잃은 것도 많았지만 얻은 것이 참 많았다..훨씬 중요한 것 많이 얻었죠” “우리가 불행 만났을때 자신에 대해 '다시쓰기' 필요...힘은 주변 사람들”

2023-03-23     곽성규 기자
22일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록’의 ‘lucky, happy, enjoy’ 특집에 출연한 이지선 이화여대 교수(왼쪽). /tvN 영상 캡처

“태어나서 처음 본 장면이었어요. 제 다리에는 살색이라고 부르는 피부가 없는 상태를 보게 됐고, ‘내가 살 수 없는 상황이구나’ 그때야 직감했습니다. 엄마에게 ‘낮에 얘기하다 밤에 갈 수도 있다’고 얘기했는데, 엄마가 제 입에 밥을 밀어 넣으시면서 기도하셨습니다. 그런 엄마를 보고 그 밥을 받아 먹으며 ‘살아서 나가야겠다, 최선을 다해야겠다, 마음으로 지지 말자’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지난 22일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록’의 ‘lucky, happy, enjoy’ 특집에 출연한 이지선 이화여대 교수는 23세 대학생 때 불의의 교통사고로 전신 55% 부위에 화상을 입은 후 병원에서 자신의 화상 부위를 처음 보게 된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당시 사고로 재학 중이던 이화여자대학교를 23세 때 떠났던 이 교수는 최근 교수로 부임해 23년 만에 모교로 다시 돌아왔다. 그녀는 “23세에 학교를 떠났는데 23년 만에 교수로 돌아왔다”며 “사고 당시에 유아교육과를 다니고 있었고, 졸업을 앞둔 상황이어서 발달이 늦은 아동을 위한 치료를 공부하며 대학원을 준비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길이었다. 친오빠가 옆 학교에 다녀서 오빠의 차를 얻어 타고, 그날도 늘 다니던 길로 가던 중에 신호등이 바뀌어서 오빠도 차를 세웠고 일상적 대화를 하고 있었는데, 뒤에서 음주운전하신 분이 이미 한 번 사고를 내고 도망을 가면서 빠른 속력으로 저희 차를 들이받게 됐고, 6대의 차가 부딪히다가 차에서 불이 나기 시작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불이 제 몸에 먼저 옮겨 붙고, 오빠가 저를 꺼내면서 오빠도 화상을 입었다”며 “조사 결과 사고 당시 가해자는 혈중 알코올 농도 0.35% 만취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사고는 당시 뉴스에 보도될 정도로 심각했다. 당시 제 상태는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고 할 정도였다. 저는 사실 기억이 거의 없다. 오빠에게 듣기로는 의사분들이 화상이 문제가 아니라 맥박이 안 잡힌다고, 곧 갈 것 같으니 빨리 작별 인사를 하라고 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녀는 “처음엔 꿈을 꾸고 있다고 생각했다. 의식이 돌아오고 나선 산소호흡기를 끼고 있어 말도 못했다. 이후에 엄마가 사고 상태를 알려 주셨다”며 “첫 수술은 상한 피부를 걷어내는 수술이었다. 피부를 걷어내니 감각이 살아나며 고통이 어마어마했다. 또 감염되면 안 되니 소독을 받아야 했다. 지옥에서 들릴 법한 소리가 이런 소리일까 그런 시간을 보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엄마랑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내 인생이랑 엄마 인생이랑 바꿔줄 수 있냐’고 물었는데, 엄마가 ‘바꿔 줄 수 있으면 천 번이고 만 번이고 바꿔 주겠다’고 했다. 눈물이 나서 더 이상 그 뒤에 말을 못했다”며 “엄마가 중환자실에서부터 ‘괜찮다’고 해서 저는 좀 괜찮은 줄 알았다. 그게 큰 힘이 됐다. 그 뒤 7개월을 병원에 있었는데, 친구들도 찾아올 때마다 옛날의 저로 대해줬다. 참 즐거웠다. 웃는 게 고통을 이긴다”고 했다.

이어 “병원에 있는 동안 수술을 받으면 예전 모습으로 돌아가는 줄 알았다. 저희들이 화상은 몰랐다. 피부는 갖게 되었지만 기대하지 않았던 모습으로 집에 돌아갔고, 또 다른 어려움이 시작됐다”며 “새로운 저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참 힘들었던 것 같다. ‘이거 나 아닌데’ 하면서 제 모습을 잊으려 했는데, 그때 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빛이 보이게 됐다. 너무 달라진 모습인데도 제 피부를 보는게 아니라 내가 원래 사랑한 동생, 내 딸, 내 조카로 봤다. 이 사랑을 저버려산 안 된단 생각을 하게 됐고, 거울 앞에 용기를 내 서게 됐다”고 고백했다.

그러면서 “TV에 출연한다 할 때 다들 걱정이 많았다. 실제로 길에 나섰을 때 저를 구경하고, 보고 놀라는 분들, 눈빛들 참 많았다”며 “제일 듣기 싫었던 소리가 혀 차는 소리였다. 늘 들렸다. TV에서 자세히 보고 길에서 만나는 저를 그냥 지나가 주시길, 내 삶에도 희노애락이 있으니 너무 특별하게 여기지 말아 주시길, 또 저를 보고 갖게된 이해의 폭이 누군가에게 ‘지선 씨처럼 오늘을 잘 살아가구 있구나’ 그런 눈빛으로 바라보길 바라는 마음으로 세상에 나갔다”고 말했다.

또한 “사고를 당했다고 말할 때마다,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자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며 “피해자로 살고 싶지 않았고, 돌아보니 마냥 피해자로만 살지 않았다. 잃은 것도 많았지만 얻은 것이 참 많았다. 보이지 않지만 훨씬 중요한 것을 많이 얻게 됐다. 그래서 사고를 만났다고 말했다”고 했다.

더불어 “그렇게 말한 순간부터 사고와 나쁜 일과 헤어지기 시작했다”며 “우리가 불행을 만났을 때 자기 자신에 대해 다시 쓰기 하는 게 필요한 것 같다. 그 다시 쓰기를 할 수 있던 힘은 주변 사람들이 저를 환자, 장애인이 아니라 내가 사랑하는 누군가로 봐 주어서, 그렇게 제가 피해자로 살지 않고 이지선으로 열심히 살아가게 된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