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금리 고공행진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2년 11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가 전반적으로 오른 가운데, 신용대출 금리는 7년만에 5%대를 넘겼다. 지표금리인 코픽스가 오른데다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들이 전반적으로 금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1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3.51%로 한 달 새 0.25%포인트(p) 올랐다. 지난 2014년 7월의 3.54% 이후 7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62%에서 5.16%로 0.54%포인트 뛰었다. 지난 2014년 9월의 5.29% 이후 최고 기록이고, 오름 폭(0.54%p)은 2012년 9월(0.66%p) 이래 9년 2개월 만에 가장 크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61%로 지난 10월의 3.46%보다 0.15%포인트 올랐다. 연 3.61%의 가계대출 금리는 2018년 12월의 3.61% 이후 최고점이다.
은행의 11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17.7%로 10월의 20.7%보다 떨어졌다. 고정금리인 보금자리론 취급 감소, 변동금리와의 격차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기업대출 금리도 연 3.12%로 지난 10월의 2.94%보다 0.18%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2월의 3.19% 이후 1년 9개월 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섰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2.67%에서 2.90%로 0.23%포인트,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3.14%에서 3.30%로 0.16%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은행의 전체 대출금리(신규 취급액 기준) 평균은 10월의 3.07%보다 0.16%포인트 오른 3.23%로 집계됐다.
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금리 평균도 연 1.29%에서 1.57%로 0.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9년 12월의 1.60% 이후 1년 11개월래 최고 수준이다. 신규 취급액 기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즉 예대마진은 1.66%포인트로 10월의 1.78%보다 0.12%포인트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