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미접종자 거부 ‘리스트’ 논란…지도에 좌표까지 찍어
백신 미접종자의 입장을 거부한 다중이용시설을 명단으로 공유하는 이른바 ‘블랙리스트’가 온라인 상에서 퍼지며 논란이 되고 있다. 다만 공신력 없는 게시물에 불과한 만큼 잘못된 정보로 인해 피해를 입는 자영업자들이 나올까 우려의 시각도 있다.
29일 온라인 커뮤니티 및 SNS 등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거부하는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을 공유한다는 글이 퍼지고 있다. 거주지역 별로 모인 커뮤니티 등에는 ‘우리동네 미접종자 거부 식당’이라는 명단도 공유되고 있다.
백신 접종은 국민의 선택 사항이라고 하지만 정부는 집단면역 형성과 확산세 억제를 위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경우 백신접종을 증명하도록 했다.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 48시간 한도의 PCR음성 확인서를 증명할 경우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같은 음성확인서가 없을 경우 ‘혼밥’만 가능토록 했다.
이런 미접종자들을 거부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을 누리꾼끼리 공유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 급기야 백신 미접종자를 거부하는 전국 식당을 지도에 표시하는 ‘미접종 식당 가이드’ 누리집까지 등장했다.
개발자 측은 "강화된 방역 대책 정책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는다"며 "미접종자분들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사이트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29일 오후 2시 기준 전체 1914개의 영업장 중 1131개의 영업장이 미접종자의 입장을 거부하고 있다고 누리집은 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과 함께 미접종자를 거부한 적이 없음에도 명단에 올라가 있다는 억울한 자영업자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서울의 한 식당주인 A씨는 "미접종자를 거부한 적이 없는데 손님이 물어봐서 알게됐다. 거부식당 명단에 올라갔더라"며 "가뜩이나 영업시간도 적고 손님도 줄었는데 더 큰 피해를 볼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를 죽이는 ‘악성 블랙리스트’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미접종자를 차별하는 식당에서 괜한 기분만 상하고 헛걸음 할 필요도 없고 고성이 오갈 필요도 없어 서로 좋은 일이라는 입장도 있다.
한편 미접종자를 입장거부하는 자영업자를 실질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조항은 없는 상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음성확인서가 있거나 혼자 이용하려는 미접종자의 입장이 거부되는 경우, 감염병예방법 조항으로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